UIUX Insights

05 하루 1분 UX 공부 - 문제를 파악하는 방법론

보고쓰고회고하고 2025. 4. 1. 17:37
반응형

 

UX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는 '진짜 문제'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데이타 감소 같은 표면적인 현상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현상이 발생했는가?’라는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5W1H(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를 활용하여 문제를 깊이 탐색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법을 통해

당면한 프로덕트 과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So What? & Why So?
어떤 앱의 이용률이 감소했다면, 단순히 "어떻게 이용률을 올릴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렇게 되었는지(Why So?), 그래서 어떻게 할 것인지(So What?)를 반복적으로 질문해야 합니다.

예시1:

  • 앱의 일일 활성 사용자(DAU)가 줄었다
    Q 왜 그런가?
       특정 기능이 불편해서 사용자가 이탈한다
    Q 그래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UI 개선 및 기능 간소화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  

 

로직 트리(Logical Tree)

로직 트리는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본질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문제를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시2: "매출이 오르지 않는다"라는 문제를 로직 트리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1. 회원가입 과정에서 사용자가 이탈한다

  • 문제1 입력해야 할 정보가 너무 많다 -
    솔루션 필수 입력 항목 최소화
  • 문제2 가입 과정이 직관적이지 않다
    솔루션 가입 UI 개선 및 가이드 제공
  • 문제3 소셜 로그인 옵션이 부족하다
    솔루션 다양한 로그인 옵션 추가


    2. 회원가입 이후 사용자 재방문율이 낮다
  • 문제1 초기 온보딩 과정이 부족하다 
    솔루션 가입 후 튜토리얼 제공
  • 문제2 푸시 알림 및 리텐션 전략이 부족하다
    솔루션 맞춤형 푸시 알림 제공
    •  

 

3C 분석 (Customer, Competitor, Company)

UX 관점에서 시장과 경쟁 환경을 분석하여 최적의 전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Customer (시장 및 고객 분석): 시장 성장 추이, 고객 세분화, 주요 고객의 특징 및 니즈 분석
  • Competitor (경쟁사 분석):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 강점과 약점, 대체재 가능성 분석
  • Company (자사 분석): 자사의 매출 및 점유율, 브랜드 이미지, 강점과 약점 분석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와 시장 동향을 반영한

UX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UX 디자인은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PDCA 사이클을 적용하면 효율적인 UX 개선이 가능합니다.

  • Plan (계획): 사용자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계획
  • Do (실행): 개선 사항을 반영한 UX 디자인을 적용
  • Check (평가): 사용자 피드백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효과 검토
  • Act (개선):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 작업 수행

이러한 방법론을 적극 활용하면 UX 설계를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1분 UX 공부로 함께 성장해 보세요! 

 

공감과 구독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